본문 바로가기

0. 재테크 실험실/재테크 정보

가계부 없이 소비 관리! 신용카드 결제일을 이렇게 설정하세요

반응형


신용카드를 사용할 때 가장 헷갈리는 것 중 하나가 결제 주기다. 내가 이번 달에 얼마를 썼는지 정확히 파악하려면 1일~말일 기준으로 카드 사용 기간을 맞추는 것이 가장 좋다. 하지만 카드사마다 기본 결제일이 다르기 때문에, 미리 알고 설정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



📌 1일~말일 사용 기준으로 설정 가능한 카드사별 결제일 정리

카드사 결제일
삼성카드 14일
신한카드 14일
KB국민카드 14일
현대카드 14일
롯데카드 14일
하나카드 14일
우리카드 14일
NH농협카드 14일
씨티카드 14일
비씨카드 13일

✅ 카드사의 결제일을 14일(비씨카드는 13일)로 설정하면, 1일~말일까지 사용한 금액이 한 달 후 결제됨.
✅ 일부 카드사의 경우, 결제일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본인의 카드 결제 주기를 확인 후 변경 필요!

💡 결제일 변경 방법
대부분의 카드사는 고객센터나 앱을 통해 결제일을 변경할 수 있다. 단, 변경이 적용되는 시점은 카드사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확인이 필요하다.



📌 왜 1일~말일로 맞춰야 할까? (장점)

1️⃣ 이번 달 소비 금액이 한눈에 보인다!

신용카드는 결제일에 따라 사용 기간이 엉켜서 “이번 달에 얼마를 썼는지” 제대로 파악하기 어렵다. 1일~말일까지 맞추면 월별 소비 금액이 명확하게 구분되므로, 소비 조절이 쉬워진다.

2️⃣ 가계부를 쓰지 않아도 소비 관리가 쉬움

가계부를 쓰지 않는다면, 신용카드 사용 내역이 자동으로 정리되는 것이 중요하다. 월별 사용 금액이 깔끔하게 정리되므로 추가적인 기록 없이도 소비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3️⃣ 카드값 연체 방지

결제일이 중구난방이면 카드 대금 납부 시기를 놓치기 쉽다. 1일~말일 사용 → 다음 달 14일(비씨카드는 13일) 결제로 설정하면, 급여일(보통 10일~15일) 이후에 카드값을 납부할 수 있어 자금 관리가 수월해진다. 나는 월급 정리하며 금액 맞추어 선결제를 하기도 한다.

4️⃣ 예산 계획이 쉬워짐

월 초에 예산을 정하고 그 안에서 소비하는 습관을 들이기 좋다. 예를 들어, 이번 달 카드 예산을 100만 원으로 정하면, 월초부터 실시간으로 사용 금액을 조절할 수 있다.



💡 이렇게 활용해 보세요!

✅ 결제일을 14일(비씨카드는 13일)로 설정해서 사용 기간을 1일~말일로 맞추기
✅ 카드사 앱에서 월 사용 금액을 체크하며 소비 조절
✅ 고정 지출(구독, 공과금 등)은 한 카드에 몰아서 관리하기

가계부를 쓰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소비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니, 한 번 설정해 두면 앞으로 돈 관리가 훨씬 편해질 거다!

반응형